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5

[책]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데이비드 맥레이니 지음, 이수경 옮김 그들의 생각을 바꾸는 방법 How minds change, 데이비드 맥레이니  Question책을 읽게 된 배경에는 오늘날의 시대에는 ‘가짜뉴스, 극우 정치, 사이비 종교, 현대미술(?), 음모론, 유사과학, 점술’ 등.. 나와는 다른 견해, 관점을 가진 사람들이 무수히 많을 뿐 아니라, 점점 더 극단적으로 치닿는 생각들을 맹신하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화나 설득을 통해 과연 변화할 수 있는지? 변화한다면 그 마음이 움직이는 메커니즘은 무엇인지 책이 그 답을 해줄 것 같았기 때문이다.또 개인적으로 사람은 ‘나쁜쪽으로 변하기는 쉽고, 좋은 쪽으로 변화하기는 어렵다’를 믿는 편인데, 나와 생각이 다르다면 차단과 포기가 쉬운 냉소와 혐오의 시대에서 극단적이라 생각되는 누군가를 설득하고 생각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2025. 1. 29.
[영화] 조커 : 폴리 아 되, 토드 필립스 감독, 2024.10.01, 이 시대의 광대 해부 뮤지컬 1. 영화 감상 전 관전 포인트 를 보기 전 1편에 대한 생각은 아서플렉이 조커로 변모하는 이유를 너무나 비극적으로, 사회적으로나 정신적으로나 관객이 따라가기 비참하고 고통스럽게 그려내었기 때문에, 그의 범죄(광기, 분노표출)가 정당하게 느껴지게끔하며 일종의 카타르시스를 제공 한다는 점에서 연출적으로 탁월하다 생각했었다. 또한 그가 망상에 기대기를 멈추고 괴물로 각성하는 서사가 영웅의 성장 서사처럼 느껴지면서, 악이 추앙받는 아이러니를 만든다는 점에서 서사가 대단하다 생각했으나, 미화한다는 점에서 자칫 위험하다 생각했었다. 그러한 그의 범죄가 일종의 사회구조적 폭력에 대한 저항이자, 타인의 고통에 무지하며, 비웃고 조롱하는 듯한 특권계층을 향한 분노 반골 투사의 상징으로써 확대 재생산되고, 우상화되며 이.. 2024. 10. 3.
[책]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괴물은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제임스 팰런, 2020, 더퀘스트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괴물은 태어나는가, 만들어지는가, 제임스 팰런, 2020, 더퀘스트 『사이코패스 뇌과학자』는 캘리포니아 대학교에서 신경과학을 가르치는 교수이자 의학자 제임스 팰런James Fallon의 책으로, 2013년 『THE PSYCHOPATH INSIDE』라는 제목으로 첫 출간되었으며 한국에는 2015년 『괴물의 심연』이란 제목으로 소개되었다가 2020년 『사이코패스 뇌과학자』 제목으로 재출간된 책이다. 최근 칼부림 범죄 및 교사폭행 등 범죄들이 잇달아 이슈가 되면서 범죄가 발생한 배경과 원인은 다르더라도 반사회적 현상과 분위기가 점점 커지고 있다는 것을 느끼고 있는데, 이러한 인상 및 사회현상을 설명할 실마리가 궁금해 읽게 되었다. 사이코패스 단어는 2010년 정도에 처음 들었는데, 당시 .. 2023. 10. 2.
[책] 도둑맞은 집중력 Stolen Focus,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어크로스, 2022 도둑맞은 집중력 Stolen Focus,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어크로스, 2022 1. 책 소개 『도둑맞은 집중력』은 영국의 저널리스트이자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인 요한 하리Johann Hari가 2022년에 지은 책으로, 과거와는 달리 긴 글을 읽기 힘들거나 해야 할 일에 집중하기 더욱 어려워진 현상을 ‘집중력의 위기’로서 동시대 주요 문제로 이슈화한다. 저자는 본인의 집중력 감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집중력을 분산시키는 SNS, 이메일 등.. 전자기기에서 물리적으로 멀어지는 디지털디톡스 수행경험을 책에 담아내며, 개인적 노력에서 나아가 ‘신경과학자, 사회과학자, 철학자,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인터뷰하고 연구사례를 소개하는 과정에서 정리된 저자의 생각을 풀어낸 책이다. .. 2023. 7. 15.
[영화] 혼자 사는 사람들, 홍성은 감독, 2021 은 2021년 전주국제영화제에 출품된 홍성은 감독의 장편영화 데뷔작이다. 이 영화를 보게 된 계기는 우연히 라는 유튜브 채널에서 로튼토마토 신선도 평점 100%을 기록한 한국영화가 있다?하며 소개한 영상이 있어(100%인 이유는 사람들이 별로 안 봤지만 본 사람들은 평이 좋아서) 관심이 생겨 보게 되었는데, ‘혼자’를 다룬다는 제목도 그렇고 영화 소개에서 ‘보이지 않는 지점들을 섬세히 다룬다’는 지점이 궁금해 기대하고 보게 되었다. 그렇게 보고 난 감상으로는 연극적인 요소나 신파적 과장없이 주인공 진아가 처해진 상황과 모습을 비교적 절제해서 담아냈기 때문에, 영화가 보여주고자 하는 풍경들과 감정들이 진솔하게 느껴져 만족스러웠고 공감대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사회의 홀로족의 이슈를 심도 깊게 다룬다는 영화소.. 2023. 6. 25.
[책] 그래서 예술인가요?, 나이절 워버턴 지음, 박준영 옮김, 미진사 1. 책 소개 먼 과거부터 현재까지 수없이 제작되고 전시되며 감동을 주거나, 난해하거나, 논란을 일으키거나, 곰곰이 생각하게 하는 예술작품을 누구나 한 번쯤 마주하고 ‘저런 것도 예술이야?’라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거라 생각한다. 또한 작품을 만드는 작가들도 마찬가지로 ‘내가 만드는 것이 예술인가?’, ‘내가 생각하는 예술은 뭐지?’하며 자신의 예술관을 의심하거나 점검해 본 적이 있을 것이고 말이다. 『그래서 예술인가요? THE ART QUESTION』 책은 그러한 의심이 귀결되어 맺히는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진지하게 사유했던 철학자들의 답변을 정리해 소개 및 비평하는 책으로, 동시대의 예술작품들을 볼 때 도움이 될 관점들, 예술관에 대한 가이드를 제시하는 책이다. 책의 저자 나이절 .. 2023. 6. 11.
[책] 도파민네이션 -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찾기, 에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흐름출판 펴냄 도파민네이션 - 쾌락 과잉 시대에서 균형 찾기, 에나 렘키 지음, 김두완 옮김, 흐름출판 펴냄, 초판 2022년 3월 21일 「도파민네이션 Dopamine Nation」은 스탠퍼드대학교 의과대학 정신의학·중독의학 교수이자 스탠퍼드 중독치료센터 소장인 애나 렘키 Anna Lembke의 책으로, 저자는 정신질환에 관한 100여 편의 글과 논문을 쓴 의학자이자 수만건의 임상 경험이 있는 의사이며 미국정부의 중독 관련 정책에 관해 자문하고 있다. 책은 의학자이자 의사, 중독정책 자문가로서의 저자의 경험을 토대로 ‘중독 Addiction’을 시대적인 문제로 바라보며, 인간의 쾌락 감각에 밀접한 도파민 Dopamine 호르몬과 중독에 관한 현상을 신경과학과 뇌과학으로 설명 및 분석하고 이에대한 회복방법을 제시한다... 2023. 6. 1.
[책] 디자인 정치학, 뤼번 파터르 지음, 쪽프레스 디자인 정치학, 뤼번 파터르, 쪽프레스, 235p, 2022년 한국 출간(2016년 출간) 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디자이너 뤼번 파터르(Ruben Pater)의 첫 번째 책으로 소위 세계화(Global)로 일컬어지는 다국어, 다문화 환경 속에서 소통하게 되는 디자이너가 숙지해야 되는 논쟁적인 디자인 사례들을 항목별로 정리해 소개하는 책이다. 예를 들어 셀럽들이 패션으로 착용해 논란이 되었던 전범기 디자인으로서 ‘욱일승천기’, ‘하켄트로이츠’나 한국 코미디 방송 또는 고등학생 졸업사진에서 흑인 분장을 통해 (의도야 순수했다, 몰랐다 하지만..) 인종차별적 유머코드(이미지, 언어)를 차용해 논란이 됐던 사례 및 현상이 이 책이 다루고자 하는 지점이라 할 수 있다. 책은 서문에서 이 책을 읽는 독자들을 ‘세.. 2023. 5. 21.
[책] 동시대 이후 : 시간-경험-이미지, 서동진 지음, 현실문화A 동시대 이후 : 시간-경험-이미지, 서동진 지음, 현실문화A 책은 사회학자이자 문화평론가, 계원예술대학교 융합예술학과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서동진 교수가 대중예술부터 순수예술 전반의 동시대 시각예술을 비평했던 글들을 모은 책이다. 미술, 영화, 음악 등.. 문화예술 전반의 각기 다른 주제, ‘문화과학, 전시비평, 한국문화연구학회’ 등의 다른 지면에 발표했던 글들을 2018년의 시점에서 ‘시간-경험-이미지’의 주제로 묶었는데, 2023년의 시점에서는 무엇이 달라졌고 어떻게 변했는지, 비평이나 진단이 현재에도 유효한지 궁금해져 읽었다. 개인적으로 2018년은 미술대학 졸업 후 사회에 내던져져서 경제적 자립을 위해 돈과 기술에 골몰해 있던 시기이기 때문에 미술이나 비평글은 전혀 읽지 않았는데, 그때 놓쳤던 진.. 2023. 5. 16.
[책] 팀랩, 경계 없는 세계_이노코 도시유키x우노 쓰네히로 지음, 정은주 옮김 팀랩, 경계 없는 세계 _ 이노코 도시유키 x 우노 쓰네히로 지음, 정은주 옮김 책은 디지털 아트 그룹 ‘팀랩teamLab’의 대표 이노코 도시유키와 문화평론가 우노 쓰네히로의 대담을 정리한 책이다. 책이 만들어진 계기는 우노 쓰네히로 평론가가 2014년 팀랩의 전시를 보고 ‘평론가로서 온 힘을 다해 디지털 아트 그룹 팀랩과 마주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하는데, 이후 4년간 팀랩의 전시를 보며 이노코 도시유키 대표와의 대화를 정리하며 담아낸 책은 팀랩의 변천사와 예술적 지향점을 담아냈다며 머리글에 소개한다. 팀랩teamLab은 예술가, 프로그래머, 엔지니어, CG애니메이터, 수학자, 건축가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분야를 넘나들며 예술, 과학, 기술, 자연의 융합을 추구하고자 협업하는 국제 예술가 .. 2023. 5. 1.